
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2기 출범 후 미국이 전면 시행한 고율 관세 정책의 여파로, 한국이 미 수입국 순위 7위에서 10위로 추락했습니다.
이는 1988년 이후 최저치로, 철강·자동차·기계 등 주력 산업계에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어요.
한미 FTA 약화, 대만·베트남 등 경쟁국 추월, 보호무역 기조 장기화에 따른 수출 구조 변화가 당면 과제로 부각됐습니다.
미국 수입시장 충격—한미 FTA 유명무실·주요 수출품 직격탄

한국무역협회와 미국 상무부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, 올해 1~7월 기준 미국의 10대 수입국 순위에서 한국은 10위를 기록했습니다.
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된 물량은 전체 수입의 3.7%(756억 달러)로, 전년 4.0%(7위)보다 하락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어요.
고율 관세로 인해 자동차, 철강, 기계, 반도체 등 주요 수출품의 가격경쟁력이 크게 약화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.
대만·베트남·아일랜드, 미국 내 입지 급등…한국 추월

같은 기간 미 수입시장 상위국을 보면, 멕시코(15.0%), 캐나다(11.2%), 중국(9.4%), 베트남(5.2%), 대만(4.9%), 아일랜드(4.6%), 독일(4.5%), 일본(4.2%), 스위스(4.2%) 등으로 알려졌습니다.
대만·베트남·아일랜드 등 신흥국들이 미국 내 입지를 앞세워 한국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어요. 대만의 경우 반도체 파운드리(위탁생산) 경쟁력 덕에 큰 폭 약진이 돋보입니다.
업계와 통상당국은 “미국의 보호무역주의는 앞으로도 장기화가 예상된다”며 더욱 공세적인 통상외교, R&D·현지생산 확대, 한미 무역협정 재개 협상 등 구조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보고 있습니다.
자동차·철강 직격탄, 현지 생산 확대·산업구조 재편 압력

자동차 산업의 경우, 현대차·기아가 25% 고율 관세를 피하기 위해 한국 내 수출을 줄이고 미국 현지 생산을 확대하는 구조로 재편되고 있습니다.
철강, 자동차부품, 일반기계 등도 지난 8월 기준 미국행 수출이 직접적으로 각각 32.1%, 3.5%, 14.4%, 12.7% 감소하는 등 업종 전반이 타격을 받았어요.
전문가들은 “트럼프 관세가 국내 제조업 체질 변화, 현지화 가속, 보호무역 환경에 맞는 새 전략 수립으로 이어질 것”이라고 전망했어요.